다트크리에이티브 IT & CG Magazine

폴란드 대표 해운물류 기업 ‘포트 그단스크(PGA)’ 비즈니스 믹서 개최

폴란드 대표 해운물류 기업 ‘포트 그단스크’는 폴란드 국토부가 후원하고 현대 글로비스가 전략적 파트너로 참석하는 비즈니스 믹서 (Business Mixer)를 진행했다.

폴란드 대표 해운물류 기업인, 포트 그단스크는 폴란드 국토부가 후원하고 현대 글로비스가 전략적 파트너로 참석하는 비즈니스 믹서를 진행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4월 27일부터 28일까지 이틀간 서울 앰버서더 풀만 호텔에서 폴란드 기업과 한국 기업들이 참여해 진행됐다.

포트 그단스크 기자간담회

포트 그단스크는 폴란드 대표 해운물류 기업이자, 발트해 남쪽 중앙에 위치한 폴란드의 가장 큰 항구로 발트해에서는 두 번째로 큰 규모다. 1000년이 넘는 오랜 역사를 가지며 최근 10년 동안 유럽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항구이기도 하다. 다른 유럽 항구에 비해 유럽 중앙이나 아시아와의 연계로 지리적으로나 전략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으며, 현대적 인프라에 경제특구라는 지위와 가격 경쟁력까지 갖추어 물류 교역 분야에서 최상의 조건을 갖추었다.

스웨덴,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체코 공화국, 슬로바키아, 헝가리, 우크라이나 등을 잇는 유럽의 허브 역할 및 중앙 및 동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게이트 웨이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운반되는 컨테이너의 수는 발트해에서 가장 많다. 2022년에는 아시아와 유럽 간 총 68.2만 톤의 상품을 처리하여 전년 대비 28% 증가한 성장을 보여주며 포트 그단스크가 아시아-유럽 간의 무역과 투자의 중요 관문임을 자처한다. 중국과의 직접적인 컨테이너 연결을 지원하는 유일한 발트해 내 항구이다. 조수가 없고, 일정한 수심과 수온을 유지해 매일 24시간 365일 내내 선박의 입출입과 화물 운송 및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며, 특히 대규모 컨테이너 시설을 갖춘 터미널을 확보하며 활발한 물류 투자 등 유럽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포트 그단스크는 또한 폴란드 정부의 시와 자금으로 운영되는 국영 항구로 폴란드 물동량의 50%를 담당할 정도의 규모를 갖추고 컨테이너, 자동차, 액체 연료 등 다양한 물류를 취급하고 있다. 연안 항구지만 깊은 수심의 심해 터미널을 이용하기 때문에 규모가 큰 대형 선박을 비롯해 다양한 배들의 입출항이 가능하다. 항구 내륙에 대형 컨테이너 포트를 갖추면서 주요 컨테이너 항구로써 발전하고 있는데, PSA 인터내셔널 항만그룹의 글로벌 물류 파트너로서 함께하고 있다.

포트 그단스크와 인접한 내륙으로 생산 시설과 함께 대규모 물류 센터가 건설되고 있어, 항구의 확장과 물류시설의 확장이 수출 기업들의 물류거점 확보에 강점으로 작용한다.
현재는 폴란드가 진행하는 국책사업의 일환으로 항구 내륙 지역의 다양한 산업 발전을 위한 투자 유치 및 개발을 진행하며 항구와 철도 및 도로를 연결하는 사업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통신 인프라 확장, 딥워터 컨테이너 터미널 액세스 확장, 연결 도로 재건 등 유럽 연합의 지원을 받아 도로 및 철도망을 현대화 하는데 힘쓰고 있다. 이는 포트 그단스크의 중요한 프로젝트로 유럽에서 가장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동력이다. 또한 폴란드는 우-러 전쟁의 종결 이후에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직접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종결 이후 포트 그단스크의 발전에 있어서 큰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트 그단스크 기자간담회 질문 답변 중인 스와보미르 미할레프스키 부사장

최근, 대한민국의 주요 투자처로 떠오른 국가 중 하나인 폴란드에는 현재 550여개의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으며, 폴란드에 대한 한국의 투자 가치는 30억 6천만 유로에 달한다.
한국의 현대차그룹은 기아의 생산공장으로 2006년부터 슬로바키아에 공장을 가동해오고 있으며, 2021년 누적생산량 400만대 달성을 비롯해 연간 33만대의 차량을 생산해 유럽 전역으로 보급하고 있다. 이때 슬로바키아에서 영국으로 보급 이동시 포트 그단스크의 물류 터미널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 폴란드는 한국과의 국방 무기 거래 조약 체결 및 여러 가지 교류를 통해 긴밀한 파트너십을 맺어가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서도 교류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폴란드는 한국 기업들의 동향과 니즈에 부합하기 위해 4월 27일부터 28일까지 폴란드의 투자 잠재력을 보여주는 ‘비즈니스 믹서’를 진행했다.

4월 27-28일 양일간 서울 앰배서더 풀만 호텔에서 열린 비즈니스 믹서 행사에는 현대 글로비스가 전략적 파트너로 참여했다. 유럽 시장 진입으로의 중요 관문인 포트 그단스크는 에너지, 식품, 물류, 디자인, 화학, 자동차 등 여러 산업의 각 분야에 한국 기업과 특별한 만남을 가졌다. 크게 4개로 구성된 토론 세션에는 포트 그단스크 관계자를 포함해 현대 엔지니어링, 현대 글로비스, 부산항만공사 등이 패널로 참가했다.

27일 컨퍼런스에서 열린 4개의 주제는 ▲(세션I) 세계 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창으로의 항구(Seaports as a window to the world of global business) ▲(세션 II) 큰 물고기는 큰 항구가 필요하다 – 인더스트리 프로젝트 구성 과정에서의 물류(Big fish need a large port – logistic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industrial projects), ▲(세션 III) “적기(Just-in-time) 물류” 끝난 것인가? 유럽과 대한민국의 창고업 시장 ▲(세션 IV) 포트 그단스크로 가는 길의 수소 – 육지 운송에 수소를 사용하는 것(Is it the end of “Just-in-Time”? Warehousing market in Europe and South Korea)으로 진행됐다.

패널 토론에 참석한 PSA KOREA의 관계자는 패널 토론을 통해 세계 글로벌 비즈니스 창으로서의 항구 운영 방안에 대해 이야기를 했다. 또한 현대 엔지니어링은 인더스트리 프로젝트를 위한 물류 항구 구축 방안을 토론했으며, ADAMPOL, PKN ORLEN, LANGOWSKI LOGISTICS 등 유럽의 글로벌 물류 기업에서 물류와 창고업 시장 현황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포트 그단스크 관계자는 “이번 행사가 양국 간의 우호적 비즈니스 관계를 구축하고 더 매력적인 비즈니스 파트너로서의 폴란드의 역할을 강조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Business Mixer, https://businessmixer.portgdansk.pl/

※ 다트크리에이티브 | 한재현 기자 wowhjh@gmail.com

DAATKING

멀티미디어, 가상현실&컴퓨터그래픽을 전공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지향하는 콘텐츠 제작자겸 저널리스트입니다.
CG 콘텐츠를 제작하는 Media & Entertainment 업계 사람들과 진솔한 이야기와 창의적 지식을 모아서 올바르게 전달하고 소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Add com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CG기사 취재 및 관련 보도 요청! - 담당자

그리드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