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컴퓨팅 분야의 세계적인 선도기업 엔비디아는 차량공유 기업 우버Uber가 자율주행 차량용 인공지능 컴퓨팅 시스템을 위해 엔비디아 기술을 채택했다고 발표했다.
CES 2018 엔비디아 기자간담회에서 엔비디아의 창립자 겸 CEO인 젠슨 황Jensen Huang은 엔비디아의 기술이 우버 어드밴스드 테크놀로지 그룹(Uber Advanced Technologies Group)의 자율주행 차량 및 트럭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실행하며, 이 알고리즘을 통해 복잡한 환경에서도 자율주행차가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다음에 벌어질 상황을 예측해 최선의 행동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젠슨 황 CEO는 “수송의 미래는 앞으로 모빌리티 서비스에 달려있다. 편리하고 저렴한 모빌리티 서비스(mobility-as-a-service)가 도시와 사회의 모습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며, 이는 향후 10년 간 수십억 명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전 세계 인류에 도움을 줄 것이다”며 “미래의 모빌리티 서비스 보급의 핵심적인 기술인 자율주행차 발전을 위해 우버와 함께 협력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우버는 2015년 초부터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추진했으며, 2016년 가을 피츠버그에서 첫 도시 시운전을 실시한 후 2017년 초부터는 피닉스에서 두 번째 시운전을 진행했다. 이 기간 동안 자율주행 우버 차량이 완료한 탑승 운행 횟수는 5만 건을 상회하며 자율주행 거리 또한 2백 만 마일을 넘어섰다.
우버가 엔비디아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자율주행 차량이 상당한 연산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주행 차량 및 트럭은 고해상도의 360도 서라운드 카메라 및 라이다lidar를 통해 주변 상황을 인식해야 하고, 센티미터 수준의 정확성으로 현재의 위치를 파악해야 하며, 다른 차량과 사람을 감지하고 살피는 것은 물론,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편안한 경로를 계획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여러 단계에 걸쳐 이뤄져야만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무인자동차는 현재의 최첨단 차량보다 최소 50~100배 가량의 집약적인 연산 능력을 요구한다.
우버 어드밴스드 테크놀로지 그룹의 대표인 에릭 메이호퍼Eric Meyhofer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자율주행 차량을 개발하려면 첨단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와 고성능 GPU 연산 엔진을 차량 내 탑재해야 한다”며 “엔비디아는 우버에 핵심 기술을 제공해, 우버가 확장성 있는 자율주행 차량 및 트럭을 상용화 할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우버는 첫 자율주행 시운전 모델인 볼보 XC90 SUV 모델에 엔비디아 GPU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자율주행 우버 차량 및 화물 트럭의 딥 뉴럴 네트워크 실행을 위해 고성능 엔비디아 프로세서를 이용하고 있다. 우버의 개발 속도는 상당히 빠르게 진행돼 100일 만에 1백마일의 자율주행 운행 거리를 돌파했다.
◆ 다트크리에이티브 | 한재현 기자 wowhjh@gmail.com
Add comment